서울을 가야 과거를 보지 뜻
발음:
목적지엘 가지 않고서는 할 일을 못 한다는 말.
- 과거를 보다: 과거에 응시하다.
- 과거를 그리워함: 향수; 회향병
- 보지: I 보지1 [보:-][명사]《생물학/생리학》 여성 생식기의 바깥 부분. = 밑구멍 3. 여음1 (女陰). 음문2 (陰門). 음호1 (陰戶). [참고] 씹 1. 자지1 .I I 보지2 【保持】 [보:-][명사]= 보유1 (保有).[파생동사] 보지-하다1 보지-되다I I I 보지3 【報知】 [보:-][명사]보고하여 알림.[파생동사] 보지-하다2
- 가야: 가야【伽倻/伽耶/加耶】 (취음加耶/伽耶/伽倻)[명사]《역사》1 = 가야국(伽倻國)1.2 = 가락국(駕洛國).
- 과거: I 과거1 【科擧】[명사]옛날에 벼슬아치를 뽑던 시험. 문과, 무과, 잡과 들이 있었다. [준말] 과(科). = 과갑(科甲). 과목2 (科目). 과시2 (科試). 과제1 (科第).I I 과거2 【過去】 [과:-][명사]1 지나간 때.* ~에 없던 일.2 지나간 일이나 생활.* ~를 돌이켜 보다.3 《언어학》 말하고 있는 때보다 이전의 행동이나 상태를 나
- 서울: 서울[명사]1 한 나라의 중앙정부가 있는 도시. = 경도1 (京都). 경락1 (京洛). 경사2 (京師). 경조1 (京兆). 도부1 (都府). 도성1 (都城)2. 도읍(都邑). 수도7 (首都). 수부4 (首府)1. 주도1 (主都)3.2 《지리/지학/땅이름》 한국의 수도.
- 보지락: 보지락[명사][의존]농촌에서 빗물이 땅 속에 스며 들어간 깊이가 땅을 가는 데 보습이 들어갈 만큼 된 정도로서, 비가 내린 분량을 헤아리는 단위.* 봄비가 한 ~ 멋지게 내렸다.
- 겨울을 나다: 월동시키다; 겨울을 지내다; 나이; 피한하다
- 겨울을 지내다: 피한하다; 나이; 겨울을 나다; 월동시키다
- 가야국: 가야-국【伽倻國】[명사]《역사》1 신라 유리왕 19(42)년에 변한의 땅에 김수로왕의 형제 여섯 사람이 세운 여섯 나라(금관가야, 대가야, 소가야, 아라가야, 성산가야, 고령가야). (42~562). = 가라(加羅/伽羅/迦羅)1. 가라국(加羅國). 가락3 (駕洛)1. 가락국(駕洛國)2. 가량국(加良國)1. 이야. 구야. 구야국. [참고] 육가야.2 =
- 가야금: 가야-금【伽倻琴】[명사]《음악》 = 가얏고.
- 가야미: 가야미[명사]《동물》 개미3 .
- 가야지: 가야지[명사] 버들개지.
- 대가야: 대-가야【大伽倻】 [대:-][명사]《역사》 신라 유리왕 19(42)년에 이진아시가 경상북도 고령군 땅에 세운 나라. 진흥왕 23(562)년 16대 520년 만에 신라에 합병되었다. (42~562).
- 소가야: 소-가야【小伽倻】 [소:-][명사]《역사》 신라 유리 임금 19(42)년에 경상남도 고성군 주위에 세워진 나라. 법흥왕 19(532)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. (42~532). = 가야국(伽倻國)3. [참고] 육가야.